서울의 대표적인 도심 속 공원인 청계천 일대에서 1급 발암물질인 석면 조각이 다수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취재진이 청계천 산책로에서 석면을 함유한 인조 슬레이트 조각들을 채집해 분석을 의뢰했는데, 법정 기준치의 최대 11배에 이르는 석면이 들어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정영수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청계천 산책길에 부모 손을 잡은 아이가 지나고 운동 나온 시민들이 뛰어다닙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이들이 오가는 길 바로 옆에 손가락 크기의 회색 조각들이 보입니다. <br /> <br />과거 건물 지붕 등에 쓰였던 인조 슬레이트 조각으로, 여기 포함된 석면이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되면서 10여 년 전부터는 사용이 전면 금지됐습니다. <br /> <br />가벼운 석면 섬유 입자가 공기 중에 떠다니다 인체에 쌓이면 거의 배출되지 않고 암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인데, 이런 이유로 석면은 '죽음의 먼지'로도 불립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YTN 취재진이 청계천 산책길 주변에서 주운 인조 슬레이트 조각 3개를 전문 기관에 의뢰해 분석해 보니, <br /> <br />과거 건축 자재에 널리 쓰였던 백석면이 각각 9%에서 최대 11% 함유돼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[박현승 / 샘석면환경연구원 : 세 개의 슬레이트 시료에는 백석면이 모두 검출되었고요. 1%가 넘는다고 판단되었을 때 저희가 시야 평가법으로….] <br /> <br />현행 산업안전보건법은 석면이 1% 이상 들어있는 물질의 제조와 수입 등을 금지하고 있는데, 법정 기준치의 최대 11배에 달하는 석면이 검출된 겁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이렇게 기준치 넘는 석면을 포함한 슬레이트가 산책길 곳곳에 방치돼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청계천 주변에서 직접 주운 슬레이트 조각입니다. 얼핏 보면 그냥 돌멩이처럼 보이는데요. 부서진 단면에 이렇게 하얀색으로 보이는 부분이 모두 석면입니다. <br /> <br />YTN은 한국석면건축물안전관리협회의 도움을 받아 청계천 산책길에서 석면을 함유한 인조 슬레이트 조각이 발견된 위치를 지도에 표시해 봤습니다. <br /> <br />종로에서 성동까지, 11㎞ 가까운 청계천 전체 구간 가운데 4㎞ 넘는 구간에 걸쳐 40개 가까운 석면 조각이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석면 함유량은 8~15%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[황경욱 / 한국석면건축물안전관리협회 이사 : 이런 산책로에 슬레이트 조각이 있을 거라고는 정말 뭐 상상할 수 없는 것이죠. 지정 폐기물이 널브러져 있다. 이것은 문제가 심각한 것이죠.] <br /> <br />청계천 관리 주체인 서울시가 관련 조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영수 (ysjung020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5110405010658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